기술직군 중에 가장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직렬이 몇 가지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건축직과 오늘 살펴볼 토목직이 있습니다. 이 두 개의 직렬은 비슷하면서도 차이점이 있어요. 주요 업무뿐만 아니라 시험과목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건축직은 건축물의 신축, 개축, 증축이나 불법 건축물 단속 또는 인허가 등 건축에 관한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입니다.
가장 먼저 9급토목직공무원 주요업무부터 살펴볼게요. 이들은 도로, 교량, 철도, 상하수도, 항만, 하천, 댐 등의 건설공사를 담당하고 있어요. 농지 개량 및 농지 확대를 위한 조사나 계획, 설계, 측량 제도와 공사시공 등에 대한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업무를 담당하고 있죠.
채용 후에는 건설교통부, 해양수산부, 과학기술부, 특허청 등과 같은 과학 기술 및 산업 관련 부처에서 일을 하게 됩니다. 그 외에 건축, 토목, 기계 기술 등과 관련된 부처로 발령이 나게 돼요. 기술직군이기 때문에,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시면 될 거 같아요.
9급토목직공무원 채용은 필기시험과 면접시험을 통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응시자격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어요. 18세 이상이면 학력이나 경력에 상관없이 응시가 가능하죠.
필기시험 과목은 5개인데요. 기술직군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지정과목으로 진행이 되었어요. [국어 영어, 한국사, 응용역학개론, 토목설계] 이렇게 5과목을 보고 있습니다. 문제는 각 과목당 20문항씩 총 100문항이 출제됩니다.
시험 시간은 각 과목별로 20분씩 총 100분이 주어지고 있습니다. 전공과목이 2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관련 학과를 전공한 분들에게는 더 유리한 시험이 될 수 있을 거 같아요. 필기시험 합격자는 각 과목마다 40% 이상 득점한 분들 중에, 고득점자 순으로 1차 선발이 됩니다. 그리고 그 인원들끼리 면접이 진행돼요.
9급토목직공무원의 경우,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면 종류에 따라서, 5%나 3%의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술사, 기사, 산업기사를 소지하고 있으면 5%, 기능사를 소지하고 있으면 3%의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고 해요. 사실 대부분의 공시생들이 가산점까지 준비를 하기 때문에, 만약에 내가 가산점을 신경쓰지 않는다면, 불리할 수도 있다고 해요.
먼저, 기술사 자격증 종류로는 [토질 및 기초, 토목구조, 도시계획, 조경] 등이 있습니다. 기사 등급의 자격증은 [건설재료, 콘크리트, 철도토목, 조경, 토목] 등이 있어요. 산업기사는 [토목산업기사, 측량, 콘크리트, 건설안전] 등이 있죠.
마지막으로 3%를 받을 수 있는 기능사 자격증 종류는 [건설재료시험, 콘크리트, 철도토목, 석공] 등이 있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하게 있으니, 그나마 취득하기 수월한 자격증을 취득해서, 가산점도 챙겨가면 좋을 거 같아요.
2023년 서울시 9급토목직공무원 선발인원은 일반토목 174명, 일반토목 장애인 16명, 저소득층 21명을 선발하고 있습니다.
지방직 각 지역별 선발인원은 2020년을 기준으로 살펴볼게요. 서울은 210명, 경기는 499명, 인천은 118명, 강원 90명, 충북 110명, 충남 134명, 대전 24명, 세종 7명, 전북 111명, 전남 86명, 광주 66명, 경북 158명, 경남 239명, 대구 66명, 울산 36명, 부산 82명, 제주 22명을 선발했었습니다.
국가직보다는 지방직 선발인원이 더 많은 편이에요.
이어서, 경쟁률도 살펴볼게요. 마찬가지로 2020년 지방직을 기준으로 보면, 서울시가 9.2:1, 경기가 2.07:1, 인천이 3:1, 강원도가 3.4:1, 충남이 2.45:1, 대전이 9.13:1, 세종이 6.7:1, 전남 4.06:1, 광주 5.7:1, 경북 4.3:1, 경남 2.9:1, 대구 6.21:1, 울산 3.63:1, 부산 4.55:1을 기록했어요.
마지막으로 합격선은 2021년 경기도를 기준으로 살펴볼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대부분 60점 내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가장 높은 지역은 74점을 기록한 양주시였어요. 그리고 가장 낮은 합격선은 50점을 기록한 용인시와 안성시입니다.
고양시는 53점, 성남시는 56점, 부천시는 55점, 화성시는 59점, 안산시는 57점, 남양주시는 64점, 안양시는 55명, 평택시는 55점, 시흥시는 52점, 파주시는 57점, 의정부시 70점, 김포시 58점을 기록했어요.
참고로, 몇몇 지역들의 경우, 선발예정인원에 미치지 못하는 필기 합격자를 기록하고 있어서, 하반기에 추가 채용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해요.
그럼 이상 글을 마치겠습니다.
'공무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9급토목직공무원 정보 파악하고 절차에 따라 준비 (1) | 2023.03.31 |
---|---|
9급 선거행정직 공무원 선발 과정 파악하기 (0) | 2023.03.27 |
보호직 공무원 선발방식 및 교정직과 비교 정리 (1) | 2023.03.20 |
경찰계급표 및 봉급표 한 눈에 정리해보기 (1)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