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직렬은 교정직과 가장 많이 비교되는 직렬입니다. 비슷한 점이 많기 때문인데요. 주로 하고 있는 업무랑 응시자격, 시험 절차가 비슷해요.
교정직은 구치소, 교도소, 보호 감호소 및 보안 감호소 등의 교정기관에서 재소자들을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어요. 교정이나 교화와 관련된 일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주로 일하게 되는 근무지는 교도소, 구치소, 소년원, 보호관찰소 등이 있습니다.
반면에, 보호직은 법무부 범죄예방 정책국에 소속이 되어, 전국에 있는 보호관찰소에서 근무를 하게 됩니다. 이들은 법원으로부터 보호관찰이나 사회봉사 등과 같은 사회 내 처분을 받은 대상자들을 감독하고 있어요. 그 외에 판결 전 조사랑 환경조사 등의 조사 업무도 같이 하고 있어요. 소년원이나 소년 분류 심사원에서 근무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 경우에는 보호처분을 받은 청소년들을 지도하고 감독하게 됩니다.
교정직과 하는 일은 비슷하지만, 약간 차이가 있어요. 주요업무 외에 응시자격에 공통점이 있습니다.
9급의 경우, 20세 이상이면 응시할 수 있어요. 다른 직렬의 경우 18세 이상이라는 나이 제한이 있는데, 이 두 가지 직렬은 20세 이상부터 가능해요.
이어서, 보호직 공무원 선발 절차를 살펴볼게요. 해당 직렬은 오직 국가직 선발로만 진행되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1년에 딱 한 번의 기회가 있습니다. 지방직은 따로 채용을 하고 있지 않아요. 국가직이라는 점에서 거주지 제한도 없습니다. 전국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직렬이에요.
선발은 필기시험과 면접시험을 통해 진행되고 있으며, 두 개의 관문을 모두 통과해야 최종 선발이 되는 것입니다.
공무원 시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관문은 필기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2년부터는 고교 과목이 모두 폐지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선택과목이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필수 3과목과 전공 과목으로 구성이 되어있어요.
22년부터 응시하게 되는 과목은 [국어, 한국사, 영어, 형사소송법개론, 사회복지학개론] 이렇게 5과목입니다. 각 과목당 20문항씩 객관식으로 출제가 되고 있어요. 그래도 문항 수 자체가 그렇게 많은 편은 아니에요.
이러한 시험 절차를 통해 최종 선발이 되는 인원은 몇 명일까요? 보호직 공무원 선발인원을 살펴볼게요. 해당 직렬은 교정직과 동일하게, 남자와 여자를 따로 선발하고 있어요. 남자에 비해서 여자의 선발인원이 훨씬 적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9급 보호직을 기준으로 23년 남자는 142명, 여자는 61명을 선발하게 됩니다. 아무래도 담당하고 있는 업무가 그렇다 보니, 여자보다는 남자를 더 많이 뽑고 있는 거 같아요. 그래도 이 정도면 여자 선발인원도 꽤 많은 편이라고 합니다.
선발인원에 이어서 경쟁률도 살펴볼게요. 확실히 남자와 여자를 선발하는 인원이 달라서 그런지, 경쟁률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더라고요. 당연히 여자 경쟁률이 훨씬 치열한 편이에요. 2020년을 기준으로 남자는 20:1, 여자는 56.6:1이었습니다. 차이가 엄청 크지 않나요? 2배 이상이 차이나고 있어요. 2019년에도 비슷했는데요. 남자는 18.6:1인데, 여자는 42.7:1를 기록했어요.
보호직 공무원 합격선도 함께 살펴볼게요. 공무원 시험 자체가 상대평가이기 때문에, 전년도 합격선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요. 물론, 매년 응시생들의 수준과 출제 난이도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지만, 그래도 최소 점수를 이정도는 받아야 한다는 기억하시는 것이 좋죠.
2020년에 남자가 367.16점, 여자가 373.01점이었어요. 2019년에는 남자 376.79점, 여자 382.29점이었습니다. 경쟁률 뿐만 아니라 합격선도 여자가 더 높은 편이에요.
오직 국가직 선발만 진행되기 때문에 1년에 응시할 수 있는 기회는 딱 한 번입니다. 23년 시험일정을 살펴보면, 원서접수는 2월 9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되었어요. 필기시험은 4월 8일에 예정되어 있고, 면접은 6월 14일부터 19일까지 예정되어 있습니다.
보호직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계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공무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9급토목직공무원 정보 파악하고 절차에 따라 준비 (1) | 2023.03.31 |
---|---|
9급 선거행정직 공무원 선발 과정 파악하기 (0) | 2023.03.27 |
9급토목직공무원 취득 절차 상세하게 파악 (0) | 2023.03.21 |
경찰계급표 및 봉급표 한 눈에 정리해보기 (1)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