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교육사는 크게 1급과 2급으로 구분되어 있어요. 2급은 학교 및 주민센터 등의 교육 강사로 활동이 가능하죠. 민관 영역에서 현장강사나 예술교육프로그램 등을 운영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이서 1급은 박물관, 공연장 등 공공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거나 관리하는 업무를 할 수 있는데요. 2급보다 수준 높은 교수 활동과 관련 프로그램을 관리하죠.
- 2급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조건
1) 대학, 전문대, 대학원, 원격대학, 학은제 등 기관에서 문화예술 관련분야를 졸업하고, 추가로 직무역량 5과목, 총 10학점의 교육과정을 이수해야합니다.
2) 고졸 이상 학력의 비전공자의 경우 15과목의 교육과정을 이수해야합니다. 15과목은 직무역량 5과목 10학점 그리고 예술전문성 10과목 30학점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분야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미술, 음악, 무용, 연극, 영화, 국악, 사진, 디자인, 공예, 만화 애니] 등이 있어요. 분야별로 각각 3과목씩 있어요.
3) 마지막으로, 국가무형문화재의 전수교육을 3년 이상 이수한 사람입니다.
즉, 전공자와 비전공자 모두 취득할 수 있는 것이죠. 비전공자의 경우에는, 예술전문성 10과목만 추가로 이수하시면 됩니다.
- 1급 자격조건
1급을 취득할 수 있는 자격조건은 총 2가지가 있어요. 1) 2급 취득 후에 5년 이상의 관련 경력과 함께 1급 교육과정인 5과목을 이수해야 합니다. 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40시간의 기본 연수를 들은 후에 5년 이상의 관련 경력이 있어야하죠. 마찬가지로 1급 교육과정 5과목을 추가로 이수해야 합니다.
즉, 1급은 각각 첫 번째 조건을 만족한 후에도 5년 이상의 경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시간이 걸리는 과정이죠. 그렇기 때문에, 먼저 2급에 대해서 꼼꼼하게 알아봤어요.
- 2급 교육과정
2급의 교육과정은 예술전문성 영역을 포함해서 총 15과목, 40학점이에요. 시간은 총 600시간입니다. 직무역량은 크게 [문화예술교육 개론],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교수역량 교과목(3과목)],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입니다.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30시간-90시간-30시간입니다. 이어서, 고졸학력자가 필수로 들어야하는 예술전문성 교과의 이수 시간은 450시간입니다. 결코 적은 시간은 아니죠.
- 교육은 어떻게?
교육은 지정된 기관에서 이수해야 하는데요. 몇 개의 대학 문화예술교육원에서 이수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대구예술대, 대진대, 부산대, 인하대, 중부대, 전남대, 호남대 등이 있습니다. 각 기관마다 수강료와 커리큘럼에는 차이가 있으니, 본인이 원하는 기관의 사이트를 통해 확실하게 알아보는 것이 중요해요.
수업은 선착순으로 모집하기 때문에, 등록기간이 총 2주라고 해도 최대한 빨리 신청을 해야지 원하는 기관에서 원하는 타임에 들을 수 있어요. 본 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사람, 재직 중이거나 은퇴한 교직원은 장학 혜택도 있으니 자신이 이에 해당한다면 꼭 증명서를 제출해서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 2급 자격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위에 조건을 만족했으면, 자격증 신청을 하면 되는데요. 1) 안내 및 자격요건 선택 2) 신청서 작성 3) 교육과정 이수내용 4) 제출 서류 안내 5) 수수료 결제 순서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관련 학과 졸업생을 기준으로 말씀드릴게요. 온라인으로 첨부해야하는 서류로는 [증명사진, 2급 교육기관 수료증 1부, 학력증명서 1부, 성적증명서 1부]입니다. 온라인으로 신청한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우편으로도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있는데요.
우편 제출 서류는 [교부신청서 1부, 2급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에 이수내용 1부, 학력증명서 원본 1부, 성적증명서 원본 1부, 범죄경력 조회 동의서 1부]입니다. 그리고 수수료 10,000원도 별도로 발생합니다. 참고로, 관련 대학원을 가는 거보다는 교육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사를 취득하는 것이 더 저렴한 편입니다.
그럼 이상 문화예술교육사 관련 정보였습니다!
'자격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와 실기는 어떻게 평가되고 있을까 (3) | 2023.03.28 |
---|---|
생활체육지도자 2급 자격증 취득과정이 궁금하다면 (0) | 2023.03.26 |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및 실기 시험절차 살펴보자 (0) | 2023.03.21 |
데이터분석준전문가 시험진행 방식이 궁금하다면 (0) | 2023.03.21 |
방수기능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 알아야 할 사항들 (0)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