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분석준전문가는 다른 이름으로 [ADsP]라고 하는데요. 이는, Advanced Data Analytics Semi-Professional의 약자입니다. 한마디로,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해서 분석하는 역량을 검정하는 국가공인민간자격증이죠. 국내 최초로 생겨난 빅데이터 관련 시험입니다.
이들은 크게 2가지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기획] 그리고 [분석]인데요.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해 내부 업무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석 기회를 발굴하여, 분석의 목표를 정의하는 것입니다. 분석에 대한 요건을 구체적으로 도출하기도 하고, 분석과정을 설계하기도 하죠.
데이터분석준전문가 시험은 응시자격에 특별한 제한이 없어요. 관심있는 분들 누구나 공부해서 응시할 수 있죠. 준전문가 자격을 취득하면, 이후 전문가 과정도 응시할 수 있어요.
오직 필기로만 진행되고 있습니다.
시험과목은 [데이터 이해(8/2)], [데이터 분석기획(8/2)], [데이터 분석(24/6)] 총 3개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객관식과 단답형으로 출제되고 있는데요. 각 과목명 괄호 속에 있는 숫자가 문항수 입니다.
객관식 40문항, 단답형 10문항으로 총 100점만점입니다. 각 문제의 배점은 모두 동일하게 2점이에요. 각 과목당 40% 이상을 득점하고 총 평균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입니다.
시험 시간도 90분이 주어지기 때문에, 충분히 여유가 있습니다. 시간에 쫓겨서 풀지 못하는 일은 거의 없을 거 같아요.
데이터분석준전문가 시험은 올해는 총 4번이 진행되는데요. 이미 지난 일정 빼고, 남은 일정만 살펴볼게요.
*접수기간 : 4.17~21
*시험일: 5.20(토)
*결과발표: 6.16
*접수기간 : 7.17~21
*시험일: 8.19(토)
*결과발표: 9.15
*접수기간 : 9.18~22
*시험일: 10.21(토)
*결과발표: 11.17
참고로, 데이터분석준전문가 과목을 자세히 살펴보면, 과목 파트 1과 2 부분에서는 지엽적인 문제가 많이 출제된다고 해요. 그렇기 때문에, 이론과 문제 풀이, 해설 등을 꼼꼼하게 살펴봐야 해요. 그리고 파트 3 데이터 분석에서는 비 전공자들이 가장 어려워한다는 R 통계 부분이 있습니다.
이 파트가 분량도 많고 내용도 어려워서 그냥 빼놓고 공부했는데, 운 좋게 당시 시험에서 R 통계 관련 문제가 적게 나와서 합격하신 분들도 계시다고 해요. 물론, 문제 출제 비율 자체가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에요.
마지막으로 합격률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비전공자들도 많이 도전하는 이 시험의 합격률은 어떻게 될까요? 2018년도에는 총 6,177명의 응시자 중에 2,696명이 합격하면서 43.65%를 기록했어요. 2019년도에도 비슷한 비율이었는데요. 44.35%로, 10,349명 주에 4,590명이 합격했죠. 절반도 안 되는 비율인데요. 필기시험만 있음에도 합격률이 그렇게 높은 편이 아니에요.
지금까지 데이터분석준전문가에 대해서 살펴봤는데요. 국내에 유일한 데이터 관련 공인시험인 만큼 결코 만만한 시험은 아니라고 할 수 있어요. 그렇지만, 앞으로 관련 분야의 전망이 좋다는 점에서 한번 쯤 도전해봐도 좋을 거 같습니다!
'자격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예술교육사 신청자격은 어떻게 될까? (0) | 2023.03.22 |
---|---|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및 실기 시험절차 살펴보자 (0) | 2023.03.21 |
방수기능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 알아야 할 사항들 (0) | 2023.03.20 |
3D프린터운용기능사 실기 및 필기 평가 방식이 궁금하다면 (0) | 2023.03.15 |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실기 출제방식이 궁금하다면 (0)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