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백가는 춘추 시대로부터 전국 시대로 넘어가던 시기에 여러 사상가들이 내세웠던 학파입니다. 이 시기에는 옛날 귀족 계급과 새로운 지주 계급 간의 모순으로 주 왕실이 약해지고 사회 질서가 점점 문란해졌으며, 새로운 선비 계층이 출현하였다고 해요.
그 중에서 제일 큰 것은 유, 도, 묵, 법의 4가입니다. 제자(諸子)란 각 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예를 들면 유가에는 공자 · 순자, 도가에는 노자 · 장자, 묵가에는 묵자, 법가에는 상앙 · 한비자, 명가에는 혜시 · 공손룡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유가사상>
유가사상은 흔히 유교(儒敎)와도 혼동되나 엄밀하게 말하면 유교는 한대(漢代)에 공자를 성인(聖人)으로, 유학을 성교(聖敎)로 추앙하여 탄생한 일종의 정치성과 종교성을 띤 이념을 의미하는 것으로 철학사상입니다.
공자(BC 551∼BC 479)가 태어난 춘추시대는 주나라의 봉건제도가 무너지고 제후들이 무력을 바탕으로 자칭타칭으로 왕을 칭하고 나온 정치적 ·사회적 혼란기이며 변혁기였는데, 공자는 이러한 시대를 문제로 인식하고, 이것의 해결을 과제로 삼아 당시를 무도한 세계[無道之界]로 규정하여 도가 있는 세상[有道之界]으로 만드는 것을 이상으로 삼았습니다.
그는 이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예(禮)와 악(樂)의 조화로 잘 통치되었던 주대(周代)의 문물제도를 되살리는 데서 찾으려 하였죠.
<도가사상>
도가사상은 노장사상(老莊思想)을 계승, 발전시킨 철학사상입니다. 노장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철학사상으로 인간의 현실적 타락과 무지의 근거를 찾아 그것을 척결해 내고, 자연의 실상을 깨달은 참지혜를 통하여 무위(無爲)의 삶을 추구하는 사상 경향을 말합니다. 한 마디로 무위자연사상이라고도 하죠.
<법가사상>
법가사상은 말 그대로 법의 작용을 특별히 강조했으며, 耕戰(경전)(일하면서 싸우기)을 창도하고 농사와 전쟁을 국가의 힘의 원천으로 강조했습니다. 법가사상은 전국시대 제자백가 사상 중 하나로 엄격한 법률에 의한 통치를 강조합니다. 모든 법가 사상가들은 군주의 권력을 강화해야한다고 주장합니다
<제자백가 사상가 명언>
* 공자
"공자가 말하기를, '자기 소망의 순실함은 성공의 기초이다.'"
"사람이라면 모두 그 원칙에 따라 행동할 것이다."
"위대한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꿈을 꾸고,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라."
* 노자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시작한다."
"최고의 지도자는 사랑과 친절함을 지닌다."
"물이 가장 부드럽지만 강을 이길 수 있는 것은 그것이 가장 강하다는 이유다."
* 묵자
"인간은 모두 평등하다."
"정의를 위해 희생해야 한다."
"사랑은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감정이다."
* 한비자
"세상을 다스리는 것은 목표를 정하고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왕은 군주의 올바른 행동에 기반해야 한다."
"지혜 있는 사람은 불행한 일을 보면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럼 이상 제자백가 사상 및 사상가 명언들 정리였습니다.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체육교육과 소개 및 관련 직업과 전망에 대해 (0) | 2024.03.30 |
---|---|
기계설계공학과 전망 및 관련 직업 학과 소개 (0) | 2024.03.30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관련 정보 (0) | 2024.03.30 |
ENTP 유형에 대한 특징과 직업군 연애스타일까지 (0) | 2024.03.30 |
ENTP 특징 장단점을 상세하게 알아보기(직업, 연애) (1) | 2024.02.09 |